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건강정보

장염 옮나요 증세가 어떤가요

반응형

솔직히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옮지 않을 수도 있고 맞을 수도 있다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위장관의 염증을 의미하는 이 장염은요

감염성 원인으로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이

있으며 

바이러스는 50~70% 

세균은 약 15~20퍼센트

정도 차지한다고 해요. 

 

세균성 장염은 심한 복통을 보이고

대변에 잠혈이나 백혈구가 더 자주 

나타나는 반면 바이러스성 

장염의 주 증상은 수성설사와 

오심, 구토 같은 상복부 증상이 

두드러지면서

그 외에 복통, 열, 두통등이 

나타날 수 있어요.

 

설사는 평소보다 대변이 묽으면서

대변 횟수가 하루 3회 이상이거나

대변 양이 하루 200g이상인 

경우로 정의되는데 

이러한 설사는 기전에 따라 

염증성 원인과 비염증성 원인으로 

나눌 수 있어요. 

 

염증성 원인의 경우에는 

이질 증상이 두드러지고 

대변은 소량씩 자주 보고 

뒤무직 즈상, 고열, 심한 복통을 

동반한 다고 하죠. 

비염 증상의 원인인 경우에는 수성

설사가 특징적이면서 

대변에 잠혈이나 백혈구세포가 

보이지 않으면

보통 

열이 없고 복통이 심하지 않아요. 

 

바이러스성 장염은 대개 바이러스 감염 이후

1~2일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해서

보통 1~4일 정도 지속되면서 

10일 가지 증상이 이어지는 경우가 있죠. 

 

겨울철에도 겪는 사람이 많은 반면

대표적으로 로타바이러스와 노로바이러스가

있는데요. 

 

이러한 장염은 전염성도 있어요

상한 음식이나 차가운 음식을 

한꺼번에 많이 먹으면 나타날 수 있는 

비감염성 원인으로 

인한 경우도 있긴 한데

바이러스나 세균이 들어가면서

감염에 의해 나타난 느 것이라고 하죠. 

 

우리나라는 4계절이 있지만, 

이 중에서 구토나 설사 복통이 

나오는데요 바이러스에 

감염이 됐다고 하더라도

사람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를 수 있다고 해요

 

겨울철과 초봄 아이들에게 유행하는

로타 바이러에 의한 경우

고열이 나면서 심하면 발작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다른 바이러스에 비해서 

탈수현상이 더욱 심하게 일어나고

이 증상은 구토를 더욱 유발한 다 고하죠. 

 

노로바이러스는 성인에게 일어날 가능성이 

커요. 왜?

 

익힌 어패류나 생과일 또는 야채 등의 

음식이나 물증에 의해 

나타나면서 바이러스가 묻어 있는

물건을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어요

 

로타의 경우 5세 미만의 어린이들에게

발생되는 경우가 많으면서, 

역시 바이러스가 묻은 물건을 통해 

전염될 수 있죠. 

 

박테리아, 병원성 대장균, 바이러스 등이

타인에게 전염되는 경우가 있겠죠. 

 

왜 식중독이라는 표현을 하는 걸까요. 

 

이런 경우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전염시킬 수도 있는데요. 

 

온도가 떨어질수록 강해지는 특성이 

있으면서, 그래서 

더욱 전염성이 강해요. 

왜 몸을 따듯하게 해 주라는지

이것으로 봤을 때 조금 알 수 있는데요. 

 

 

가장 큰 차이는 노로바이러스는 아직도

예 빵 접종이 없지만, 

로타바이러스는 생후 2~6개월에 

시행하기도 해요  

 

탈수가 되지 않도록 충분한 수분 섭취를 

통해주는 것이 좋고, 

이온음료는 당 성분으로 

설사 증상을 더 일으킬 수 있어서

보리나, 생수를 마시는 게 

오히려 좋다고 해요. 

 

물론, 심각한 경우는 조금은 

마셔주는 경우도 소금기와 당으로 인해

염분을 보충하는 상황이 생겨서

좋기도 하고요. 

 

설사와 구토 수분 부족으로 인해 탈수 

증상을 막기 위해서 수분은 

필수이면서, 음식은 최대한 자제해주시되

꼭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을 먼저 시도해보고 

음식을 먹는 것이 좋겠어요. 

 

지사제라는 것을 사용하는 

일은 되도록 없어야 되는데요. 

설사가 내 몸에 빠져나가서 독소를 

빼내려는 노력이 있는 과정이라서, 

안 좋은 것을 빼내기 위한 

활동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아시겠지만, 우리 몸은 민감해서, 

몸에 안 좋은 음식들이 들어오거나, 

장에도 안좋은 음식이 들어오면

빼내야 돼요. 

 

농약 같은 것들을 먹게 되어도 위가 

게 어지고요. 

최근에는 수면제 자체도 먹으면 구토를

유발할 수 있게 도와주기 때문에

다행인 것 같기도 하네요.

 

오히려

이 경우에는 좋다고 알려져 있는

섬유질이 많은 채소나 발효식품은 

피해 주서야 되고요. 

 

자극적인 요소를 다 피해 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모두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