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고 일어나면 목이 아파요라는 분들!
꼭 보세요.
아마 많으신 분들이
아침에 일어났을 때 개운하지 않으실 수도 있는데요.
건조하면서 목이 칼칼하고
그런데 때로는 먼가 가 걸린 것 같기도 하고
긴가민가해서 컥컥거리면서
가래도 많이 해보지만요.
그렇다고 해서 왜 그런지 원인도 모르고
딱히 알레르기가 있는 것도 아니고,
방이 건조하면 그럴 수 있죠 충분히
그런데 다른 증상들도 의심해보셔야 돼요.
감기에 걸렸다고 목이 붓는 것이 아니거든요
그리고 신경쇠약에 걸렸다고 목이 붓는 것오 아니고
자고 일어나면 목이 아파요 라고 하시면
분명히 무언가가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어서요.
저 또한 목이 잘 붓는 편이었는데
처음에는 감기고 신경쇄 약인 줄 알았어요
그게 아니고,
비염 때문이었어요.
간절히 환절기 각각 계절이 바뀔 때마다
이런 증상이 있어서
비염약을 복용한 이후에는 전혀
문제가 없었는데요.
이제부터 자세히 살펴보죠.
때로는 목안이나 편도 주변에
약간의 염증이 보이기도 하고요.
첫 번째로는 역류성 인후두염을
의심할 수도 있는데요.
이것은 실제로는 이론상
위장 상의 문제가 있고
더욱이 근본적인 원인을 찾는다면,
스트레스성 위장질환인 경우가 많아요.
많으신 분들이 걱정을 많이 하실 텐데
자고 일어나면 무언가 하기 싫은 것들을
해야 되는 압박감에 있다면,
그런 것들이 상당히 고되고
힘들고, 어려울 수 있는데요.
이는 어떠한 이유로 인해서
위산이 과다 분비되면서 목구멍 쪽으로
역류하면서
생기게 되고
위산에 목에 머물면서 아파지는 것이죠.
위산이 굉장히 강한데요.
음식에 비례해서 적당량만
분비해줘야 되는데 음식을
소화시키고도 남을 만큼 넘치게끔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때 위산이 위벽을 손상시켜서
위염이나 위궤양을 만들기도
한데요.
이런 증상뿐 아니라,
식도와 위장 사이에 괄약근 밸브가 느슨해지고
그로 인해서
식도나 목구성 쪽으로 위산이 역류하는
경우도 있죠.
그러면서 위산이 닿게 되면서
인후두 부위에 점막을
손상시켜서 아파오는 데요.
자고 일어나면 목이 아파요?
왜 역류하는 걸까요
왜 공복에도 위산이 과다 분비될까요
화병이나 불안신경증 등과 연곤 되어
자율신경이 과민해져서
식도 위 괄약근이 순간 느슨해지고,
위산분비도 뒤죽박죽이 되어
버리죠.
그래서 이런 경우에는 목 염증 치료를
해도, 위산과다를 위한 제산제 치료를
해도 근본적인 치료가 되지 않아서
목이 칼칼하고
답답한 게 잘 낫지를 않게 되어요.
이런 경우는 위산과다와 위식도 괄약근
문제의 근본 원인인 자율신경 문제를
다스려야 하는데요.
그래서 이런 유형일 때는
자율신경을 안정시키는 한약으로
치료하면서
우산 과다 문제나 위식도 괄약근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요.
두 번째로는
현재 복용 중인 약물을 점검해야 되는데요.
대부분의 정신과 약들이 갑상선치료약
진통소염제 스테로이드제 가 구강건조증이
목안 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어요
혹시 이런 약들을 장기간 사용하면서
이런 증상이 나타난 경우라면요
이런 약물을 중단하거나, 혹은
비슷한 계열이지만
구강건조가 덜 유발될 수 있는 약물로
전환해보는 것도
치료자와 상의할 필요가 있겠죠.
세 번째 원인은 진액 부족이에요.
목안은 촉촉한 점막 조직이 감싸서 외부의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보호막을
잘 형성해주고요.
이는 마치 피부조직이나 마찬가지예요
피부가 촉촉해야 외상은 물론이고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방어,
관절운동 동작 등이 원활해지고요.
그런데 자꾸 건조해지면서,
그 틈으로 균열이 생기고,
그 균열 부위에 외부 자극이 침입하기
쉬워지고,
그로 인해서 염증 반응이 잘 생기기도
하는데요.
목안도 마찬가지죠.
이런 투명 조직은 끊임없이 건조하고
피부 각질처럼 떨어져 나가지만,
또 속으로 재생산되어
그 자리를 대체해줌으로써
정상적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죠.
그런데 어떠한 이유로 인해서
이런 점막 조직이 건조 속도가
너무 빨라져서 소모가 빨리 되거나
그 자리를 대신해주기도 해요
그리고
만성피로 수면부족이나 수술 후유증
체력 저하 전신쇠약 노화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이럴 경우 목안이 자꾸 건 깨끗이 재고
곤조 하면 모든 조직은 수축되고
쪼그라들어요
그 과정에서 일부 미세한 균열이나
파열이 생겨나고 그 틈으로
염증반응도 잘 생겨요
모두 이비인후과로 내원하셔서 잘
살펴보는 것이 좋겠어요
모두 건강하세요.
'유용한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천장 헐었을때 너무 아프다 (0) | 2021.04.09 |
---|---|
눈흰자 부음 원인과 증상 파해치기 (0) | 2021.04.09 |
장염 옮나요 증세가 어떤가요 (0) | 2021.04.09 |
술먹고 토할때 피가나요 (0) | 2021.04.09 |
불키고 자면 나타나는 증상 (0) | 2021.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