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 정보

맨몸 운동과 저중량으로 근성장을 최대화하는 방법

반응형

37만 

 

근육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저항 운동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저항운동

 

저항을 들고 운동을 한다면

헬스장에서 무거운 바벨을 들고 

스쿼트를 해도 저항운동이고

 

집에서 맨몸스쿼트 운동으로 

저항운동입니다. 

 

근성장에 가장 대표적인 

매커니즘은 있어 보이는 

용어로는 

메커니컬 텐션이라는 

기계적 장력

 

저만의 해석으로는 

근육의 강한 긴장도?

 

저항 운동이란 저항이 근육을 당기고

인체는 그에 맞는 힘으로 근육을

다시 반대로 당기는 

근육이라는 줄을 가지고 

저항과 힘이 

줄다리기를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줄 다리기에서 

근육을 당기는 저항이 낮다면

 

힘도 그 저항값고 ㅏ 비슷하게

 

적당한 근육섬유들만 일을 하게 되고

그로 인해 

근육이란 줄 자체에도 적당한 긴장감만이

나타날 뿐입니다. 

 

하지만 저항과 힘의 줄다리기가 아주 

팽팽하게 줄이 끊어질 정도의 

높은 저항으로 인해 

근육의 강한 긴장도가 발생되면

 

힘은 저 높은 저항에 맞서기 위해 

 

최대한 많은 근육섬유가 참여하게 됩니다.

 

이렇게 근육의 강한 긴장도를 높이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바로 근섬유의 참여유을 높이기 위한

 

고중량의 저항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저중량으로도 근육의 

강한 긴장도를 만들수 있습니다.

 

자 파워란 힘과 속력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잇습니다.

펀치게임을 예로 들면 이 펀치란 행위에

쓰이는 근육에 힘을 잔뜩 주고선 

서서히 주먹을 내질러봐야 

높은 점수는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 

 

높은 파워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아주 빠른 속도로 주먹을 내질러야 합니다.

즉, 힘이 강하고 속력이 빠를수록 파워는 

강해 집니다. 

 

자 그럼 이 개념을 저항운동으로 대입해보겠습니다.

펀치게임은 어느 정도의 파워를 뽑아내야 하는지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예를 들어 푸쉬업을 한다면

몸무게란 저항을 가지고 팔을 굽혔다 펴야 하는

이 행위를 완료하기 위한, 

파워값이 정해져있습니다.

 

고작 맨몸, 나의 가슴과 삼두의 힘으로

적당한 속도로 굽혔따 폈다 한다면

정말 쉽게 10번이고 20번이고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힘과 속도의 곱이 파워라면?

그ㅡ리고 여기 

팔을 굽혔다 피는 속도를 

줄인다면?

저 푸쉬업을 완료하기 위한 파워를 

뽑아내기 위해서는 

강한 힘이 필요하게 됩니다. 

 

앞서말한 근육의 긴장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고중량을 통해서 강한 파워를 

근육에 쉽게 요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운동 초반부터 많은 

근섬유의 참여를 통해 

근육을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중량을 만들어낼 저항이 ㅇ

ㅓ없다면

우리는 운동하는 속도를 줄이면 됩니다. 

 

저 중량이더라도 운동 속도를 줄이면 

근육에 큰 힘이 요구되고 

그로인해 세트의 후반부쯤에서 

근육은 지쳐버려 

동작을 완료하기 위해 근섬유의 참여율은

결국 높아지게 됩니다. 

그렇게 고중량의 저항이 없더라도

 

힘과 속도의 관계를 이용해 

수축 속도를 조절하면

충분히 근육을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헬스장에서 운동하던 

열정을 떠올리며 

부스터를 타마셨는데... 

 

반응형